build.gradle에 spring-boot-devtools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
html파일을 컴파일만 해주면 서버 재시작 없이 View 파일 변경이 가능하다.

Application 실행 시 restartedMain으로 나오면 devtools가 제대로 설치된 것이다.
이후 수정사항이 발생하면 Application 재실행할 필요 없이
Build → Recompile을 실행하고 페이지 새로고침을 하면 수정사항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커(docker)설치 후 MySQL에 접속하는 방법 (0) | 2023.05.09 |
---|---|
도커(docker)란? (1) | 2023.05.09 |
VO & DAO & DTO란 무엇인가 (0) | 2023.01.19 |
웹 프로젝트의 기본 구조 (0) | 2023.01.18 |
Spring Data JPA - todolist 실습(1-4) Service (0) | 2023.01.09 |
build.gradle에 spring-boot-devtools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
html파일을 컴파일만 해주면 서버 재시작 없이 View 파일 변경이 가능하다.

Application 실행 시 restartedMain으로 나오면 devtools가 제대로 설치된 것이다.
이후 수정사항이 발생하면 Application 재실행할 필요 없이
Build → Recompile을 실행하고 페이지 새로고침을 하면 수정사항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커(docker)설치 후 MySQL에 접속하는 방법 (0) | 2023.05.09 |
---|---|
도커(docker)란? (1) | 2023.05.09 |
VO & DAO & DTO란 무엇인가 (0) | 2023.01.19 |
웹 프로젝트의 기본 구조 (0) | 2023.01.18 |
Spring Data JPA - todolist 실습(1-4) Service (0) | 2023.01.09 |